| 1단계 |  
자체평가 규정 및 기본방향 점검 | 
 
 
- 자체평가 규정 점검
  
- 대학 자체평가 기본 방향 및 전략 점검
  
   | 
 
 
| 2단계 |  
자체평가 모형 설정 | 
 
 
- 평가의 유형 및 방법 확정
  
- 대학 자체설정지표 선정
  
- 운영매뉴얼 작성
  
   | 
 
 
| 3단계 |  
자체평가를 위한 조직 구성 | 
 
 
- 자체평가위원회
  
- 행정부서별 참여 ‘자체평가실무팀’구성
  
- 필요에 따라 자문위원회 운영
  
   | 
 
 
| 4단계 |  
자체평가 항목 및 평가지표 개발 | 
 
 
- 평가영역, 평가항목, 평가내용에 따른 평가지표 확정
  
- 구성원 의견수렴
  
   | 
 
 
| 5단계 |  
자체평가 실시 | 
 
 
-  자체평가 실시 및 자료 수집, 결과 분석 및 보고서 작성 
 
- 각종 규정, 지침, 공문, 회의록 등 증빙자료 수집 및 보완
  
- 자체평가보고서 초안 작성
  
- 자체평가보고서 초안 검토 및 보완
  
- 자체평가보고서(제출안) 확정
  
    
   | 
 
 
| 6단계 |  
자체평가 결과발표 및 개선방안 마련 | 
 
 
- 자체평가 결과 대내외 공개 및 공유
  
- 자체평가 활용방안 수립
  
- 차기 사업계획 및 예산에 반영
  
- 개선 방안 마련, 실태 점검 등 지속적 질 관리 실시
  
   |